728x90
대한민국의 문학상/이상문학상
우리 대한민국의 문학상으로는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김유정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동인문학상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상문학상(李箱文學賞)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홈 스위트 홈(제46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2023년)
1977년 1회를 시작으로 문학사에서 중요한 작가와 작품을 주목해 선정했던 이상문학상이 어느덧 46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2023년 제46회 이상문학상 심사위원회(권영민ㆍ구효서ㆍ김종욱ㆍ윤대녕ㆍ전경린)는 한 해 동안 국내에 발표된 중ㆍ단편소설을 엄선하여 가장 많은 지지를 얻었던 최진영의 「홈 스위트 홈」을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제46회 이상문학상 작품집에는 대상 수상작 「홈 스위트 홈」과 최진영의 자선 대표작 「유진」 외에도 5편의 우수작이 수록돼 있다. 이들 모두가 소설의 구성적 완결성과 독특한 기법이 돋보였고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벌어진 재난 상황과 위험사회의 징후를 밝혀내는 작품들도 눈에 띄었다. 우수작은 다음과 같다. (가나다 순) ㆍ 김기태 「세상 모든 바다」 ㆍ 박서련 「나, 나, 마들렌」 ㆍ 서성란 「내가 아직 조금 남아 있을 때」 ㆍ 이장욱 「크로캅」 ㆍ 최은미 「그곳」 ◈ 대상 수상작 「홈 스위트 홈」 줄거리 주인공 ‘나’는 말이 되지 않는 것을 믿는다. 이를테면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무언가가 폭발해 파편적으로 공존한다고 믿는다. ‘나’는 분명히 일어난 적 있으나 아무도 모르는 일에 대해 자주 생각한다. ‘나’가 기억하는 최초의 집에는 우물이 있었다. 얼마 뒤 ‘나’는 그 집을 떠났고, 새로 이사 온 사람들은 기와집을 허물어 벽돌집을 짓고 우물을 메워 마당에 잔디를 깔았다. ‘나’가 기억하는 최초의 집은 그렇게 사라졌다. 시간이 흘러 그 집 앞을 지나던 ‘나’는 엄마에게 기와집과 우물에 대해 떠오른 기억을 말한다. 엄마는 놀라며 ‘내’가 그 집을 기억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답한다. 그러나 ‘나’는 분명히 기억하며, ‘나’의 기억은 ‘나’의 선택이 아닌 기억이 ‘나’를 선택해 남아 있는 것 같다고 느낀다. ‘나’는 연인인 어진과 동거를 하고 있다. 동거 생활한 지 삼 년째에 ‘나’와 어진은 위기를 맞는다. 바쁜 일상에 치여 힘겨워하는 어진과 그런 어진의 짜증에 ‘나’도 지쳤기 때문이다. ‘나’와 어진은 이별을 선택하는 대신 주변 환경을 바꾸기로 결심하고, 충남 보령의 작은 빌라로 이사한다. 앞뒤 창으로 계절마다 색이 변하는 뒷동산과 구름처럼 희뿌연 해수면이 보이는 새로운 집에서 잃어버리는 여유를 되찾아 간다. 어진은 직장을 옮기고, 프리랜서인 ‘나’는 작업 시간을 조정하며 고되었던 일상을 환기한다. 그러나 어진과의 결혼을 앞둔 무렵, ‘나’는 암 진단을 받는다. ‘나’는 항암 치료를 끝냈지만 일 년이 지나기도 전에 암이 재발한다. 의사는 3차 재발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나’는 암 진단을 받은 것이 오로지 ‘나’의 잘못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고통이 심할 땐 차라리 죽는 게 낮겠다는 생각을 할 정도였던 ‘나’는 병원 로비에서 누군가의 말을 듣고 멈춰 선다. 아직 젊은 사람이 어떻게 살았기에 그런 병에 걸렸느냐는, 딱하다는 듯 혀를 차며 아픈 사람에게 책임을 묻는 중년 남녀의 대화였다. ‘나’는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내’가 돌아가고 싶은 곳은 어디에도, 아직 없다. ‘나’는 그간 암이 재발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외면했던 것과 다르게, 그 가능성을 직면하고 직접 미래를 선택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돌아가고 싶은 그 ‘집’을 직접 짓기로 한다. 그곳에서 비 오는 날 부추전을 만들어 먹을 거라는 미래를 기억하면서. ‘나’는 엄마와 함께 폐가를 수리하며 ‘내’가 기억하는 집을 완성한다. 이삿짐을 옮기기 전 집을 바라보며 앞으로 펼쳐질 ‘나’의 미래 역시 기억한다. 폭우의 빗방울 하나, 폭설의 눈 한 송이, 해변의 모래알 하나가 모여 단단해질 ‘나’의 스위트 홈을 말이다.
- 저자
- 최진영, 김기태, 박서련, 서성란, 이장욱, 최은미
- 출판
- 문학사상
- 출판일
- 2023.02.10
1. 이상문학상(李箱文學賞)
이상문학상 (李箱文學賞)은 우리나라의 대표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1977년에 문학사상사에 의해 제정되었습니다.
천재 작가 이상의 문학적 업적을 영원히 기리고, 그의 작가정신을 계승하여 한국 소설계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시상하고 있습니다.
이상문학상은 중·단편소설을 대상으로 시상하며, 매년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통해 수상작과 후보작이 발표됩니다. 이상문학상은 한국 소설계의 발전과 작가들의 창작 열망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 역대 대상 수상자와 수상작
회 | 연도 | 수상자(대상) | 수상작 |
제46회 | 2023년 | 최진영 | 홈 스위트 홈 |
제45회 | 2022년 | 손보미 | 불장난 |
제44회 | 2021년 | 이승우 | 마음의 부력 |
제43회 | 2019년 | 윤이형 | 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
제42회 | 2018년 | 손홍규 | 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
제41회 | 2017년 | 구효서 | 풍경소리 |
제40회 | 2016년 | 김경욱 | 천국의 문 |
제39회 | 2015년 | 김숨 | 뿌리이야기 |
제38회 | 2014년 | 편혜영 | 몬순 |
제37회 | 2013년 | 김애란 | 침묵의 미래 |
제36회 | 2012년 | 김영하 | 옥수수와 나 |
제35회 | 2011년 | 공지영 | 맨발로 글목을 돌다 |
제34회 | 2010년 | 박민규 | 아침의 문 |
제33회 | 2009년 | 김연수 |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
제32회 | 2008년 | 권여선 | 사랑은 믿다 |
제31회 | 2007년 | 전경린 | 천사는 여기 머문다 |
제30회 | 2006년 | 정미경 | 밤이여, 나뉘어라 |
제29회 | 2005년 | 한강 | 몽고반점 |
제28회 | 2004년 | 김훈 | 화장 |
제27회 | 2003년 | 김인숙 | 바다와 나비 |
제26회 | 2002년 | 권지예 | 뱀장어 스튜 |
제25회 | 2001년 | 신경숙 | 부석사 |
제24회 | 2000년 | 이인화 | 시인의 별 |
제23회 | 1999년 | 박상우 | 내 마음의 옥탑방 |
제22회 | 1998년 | 은희경 | 아내의 상자 |
제21회 | 1997년 | 김지원 | 사랑의 에감 |
제20회 | 1996년 | 윤대녕 | 천지간 |
제19회 | 1995년 | 윤후명 | 하얀 배 |
제18회 | 1994년 | 최윤 | 하나코는 없다 |
제17회 | 1993년 | 최수철 | 얼음의 도가니 |
제16회 | 1992년 | 양귀자 | 숨은 꽃 |
제15회 | 1991년 | 조성기 | 우리 시대의 소설가 |
제14회 | 1990년 | 김원일 | 마음의 감옥 |
제13회 | 1989년 | 김채원 | 겨울의 환 |
제12회 | 1988년 | 임철우 | 붉은방 |
한승원 | 해변의 길손 | ||
제11회 | 1987년 | 이문열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제10회 | 1986년 | 최일남 | 흐르는 북 |
제9회 | 1985년 | 이제하 |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제8회 | 1984년 | 이균영 | 어두운 기억의 저편 |
제7회 | 1983년 | 서영은 | 먼 그대 |
제6회 | 1982년 | 최인호 | 깊고 푸른 밤 |
제5회 | 1981년 | 박완서 | 엄마의 말뚝 |
제4회 | 1980년 | 유재용 | 관계 |
제3회 | 1979년 | 오정희 | 저녁의 게임 |
제2회 | 1978년 | 이청준 | 잔인한 도시 |
제1회 | 1977넌 | 김승옥 | 서울의 달빛 0장 |
욘포세 노르웨이 2023/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욘포세 노르웨이 2023/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욘포세 노르웨이작가가 2023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작가 욘포세는 1959년 노르웨이 로갈란주 헤우게순에서 출생했으며, 1983년 장편소설 으
rich-jumma.tistory.com
문학 관련 직업/작가 번역가 편집자 시나리오작가
문학 관련 직업/작가 번역가 편집자 시나리오작가 문학 관련 직업은 다양한 분야와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직업들이 있는지 각각의 직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1. 작가 작가는 자신
rich-jumma.tistory.com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의 문학상/동인문학상 (1) | 2023.12.17 |
---|---|
대한민국의 문학상/현대문학상 (1) | 2023.12.17 |
문학 관련 직업/작가 번역가 편집자 시나리오작가 (0) | 2023.12.16 |
동화에 대하여/동화와 이야기의 차이 동화가 주는 교훈 (0) | 2023.12.15 |
세계적인 문학상/노벨문학상 부커상 공쿠르상 페미나상 퓰리처상 (1)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