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산문학상(大山文學賞)/역대 수상자와 수상작 시 소설부문
낫이라는 칼
‘사물을 성찰하는 시인’ 김기택의 일상의 경계가 허물어진 환한 세계를 향한 발걸음 보이지 않는 구석에서 궁구하는 시적 상상력 198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후, 탁월한 시적 묘사로 독자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일깨워준 김기택 시인의 신작 시집 『낫이라는 칼』이 문학과지성 시인선 573번으로 출간되었다. 현대인의 일상을 포착해 그 안에 내재된 소외와 단절을 성찰해온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를 허물고 사물의 고유한 상태만이 남은 환한 세계로 나아가는 데 몰두한다. 늘 보이지 않는 틈을 비추는 김기택의 문학적 상상력은 이번 시집을 이끄는 힘이 된다. 자신의 존재를 감각하지 못한 채 순한 얼굴을 한 아기와 강아지 몰티즈의 시선에 부끄러워하다가도 시인은 그 시선을 오지 않을 슬픔을 들여다보는 휠체어를 탄 사람으로 옮긴다. 이는 인간을 사물과 다름없는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과 동시에 더는 “인간의 편에서 사물은 사물의 사태, 그 자체로 온전히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은 자만이 체득한 태도라 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사물주의자로서 삶을 성찰해온 시인의 겸손함을 독자들은 이번 시집에 묶인 66편의 감각적인 시에서 직접 확인하게 될 것이다. 사물의 편은 견고한 고정관념으로 인식한 삶의 가치와 사물에 대한 판단을 무화시킨다. 소외를 양산하는 ‘지금-여기’, 노동하는 삶과 쓸모 있는 사물을 다시, 최초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자본의 교환가치에 짓눌린 삶과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 너머 다른 삶과 다른 가치의 사물을 시원의 자리에서 탐색한다. 사물의 편에서 삶과 사물을 바라본다는 것은 인간 중심주의에 대한 성찰을 수행하고 다른 삶의 가치를 모색하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김기택 시인은 지금까지 사물에 의한, 사물을 위한, 사물의 편에서 올곧이 사물의 시를 써온 사물주의자이다. -송승환, 해설 「사물주의자의 틈」에서
- 저자
- 김기택
- 출판
- 문학과지성사
- 출판일
- 2022.09.27
1. 대산문학상(大山文學賞)
대산문학상(大山文學賞)은 대산문화재단이 주관하며, 1993년 대산 신용호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이 문학상은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창작문화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시(시조), 소설, 희곡, 평론, 번역의 분야에서 우수한 작품을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2. 역대 수상자와 수상작
2.1. 시 부문
회 | 연도 | 수상자 | 수상작 |
제31회 | 2023년 | 김기택 | 낫이라는 칼 |
제30회 | 2022년 | 나희덕 | 가능주의자 |
제29회 | 2021년 | 김언 | 백지에게 |
제28회 | 2020년 | 김행숙 | 무슨 심부름을 가는 길이니 |
제27회 | 2019년 | 오은 | 나는 이름이 있었다 |
제26회 | 2018년 | 강성은 | Lo-fi |
제25회 | 2017년 | 서효인 | 여수 |
제24회 | 2016년 | 이장욱 | 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 |
제23회 | 2015년 | 마종기 | 마흔두 개의 초록 |
제22회 | 2014년 | 박정대 | 체 게바라 만세 |
제21회 | 2013년 | 진은영 | 훔처가는 노래 |
제20회 | 2012년 | 백무산 | 그 모든 가장자리 |
제19회 | 2011년 | 신달자 | 종이 |
제18회 | 2010년 | 최승자 | 쓸쓸해서 머나먼 |
제17회 | 2009년 | 송찬호 |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
제16회 | 2008년 | 김혜순 | 당신의 첫 |
제15회 | 2007년 | 남진우 |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
제14회 | 2006년 | 김사인 | 가만히 좋아하는 |
제13회 | 2005년 | 김명인 | 파문 |
제12회 | 2004년 | 이성복 | 아, 입이 없는 것들 |
제11회 | 2003년 | 김광규 | 처음 만나던 때 |
제10회 | 2002년 | 김지하 | 花開 |
제9회 | 2001년 | 이성부 | 지리산 |
제8회 | 2000년 | 최승호 | 그로테스크 |
제7회 | 1999년 | 황지우 |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 |
제6회 | 1998년 | 신경림 |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
제5회 | 1997년 | 김춘수 | 들림, 도스토예프스키 |
제4회 | 1996년 | 정현종 | 세상의 나무들 |
제3회 | 1995년 | 황동규 | 미시령 큰바람 |
제2회 | 1994년 | 이형기 | 죽지 않은 도시 |
제1회 | 1993년 | 고은 | 내일의 노래 |
2.2. 소설 부문
회 | 연도 | 수상자 | 수상작 |
제31회 | 2023년 | 현기영 | 제주도우다 |
제30회 | 2022년 | 한강 | 작별하지 않는다 |
제29회 | 2021년 | 최은영 | 밝은 밤 |
제28회 | 2020년 | 김혜진 | 9번의 일 |
제27회 | 2019년 | 조해진 | 단순한 진심 |
제26회 | 2018년 | 최은미 | 아홉번째 시도 |
제25회 | 2017년 | 손보미 | 디어 랄프 로렌 |
제24회 | 2016년 | 김이정 | 유령의 시간 |
제23회 | 2015년 | 황정은 | 계속해보겠습니다 |
제22회 | 2014년 | 김원일 | 아들의 아버지 |
제21회 | 2013년 | 김숨 |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
제20회 | 2012년 | 정영문 | 어떤 작위의 세계 |
제19회 | 2011년 | 임철우 | 이별하는 골짜기 |
제18회 | 2010년 | 박형서 | 새벽의 나나 |
제17회 | 2009년 | 박범신 | 고산자 |
제16회 | 2008년 | 구효서 | 나가사키 파파 |
제15회 | 2007년 | 김훈 | 남한산성 |
제14회 | 2006년 | 김인숙 | 그 여자의 자서전 |
제13회 | 2005년 | 김연수 |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
제12회 | 2004년 | 윤흥길 | 소라단 가는 길 |
제11회 | 2003년 | 송기원 | 사람의 향기 |
제10회 | 2002년 | 김원우 | 객수산록 |
제9회 | 2001년 | 황석영 | 손님 |
제8회 | 2000년 | 이윤기 | 두물머리 |
제7회 | 1999년 | 서정인 | 베네치아에서 만난 사람 |
제6회 | 1998년 | 김주영 | 홍어 |
제5회 | 1997년 | 박완서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
제4회 | 1996년 | 이호철 | 남녘사람 북녘사람 |
제3회 | 1995년 | 최인석 | 내 영혼의 우물 |
제2회 | 1994년 | 이청준 | 흰 옷 |
제1회 | 1993년 | 이승우 | 생의 이면 |
젊은작가상/역대 수상자/이미상 모래 고모와 목경과 무경의 모험
젊은작가상/역대 수상자/이미상 모래 고모와 목경과 무경의 모험 2023 제14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2010년부터 우리 사회의 경향과 징후를 기록하는 매체로서 문학이 지니는 영향력을 믿으며 꾸
rich-jumma.tistory.com
대한민국의 문학상/만해문학상(萬海文學賞)
대한민국의 문학상/만해문학상(萬海文學賞) 폐허를 보다 노동자들의 삶을 짓누르는 어둠과 그 안에서 움트는 투쟁의 불꽃을 기록해온 노동자 출신 작가 이인휘의 소설집 『폐허를 보다』. 전작
rich-jumma.tistory.com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산문학상(大山文學賞)/역대 수상자와 수상작 희곡 평론부문 (0) | 2024.01.17 |
---|---|
젊은작가상/역대 수상자/이미상 모래 고모와 목경과 무경의 모험 (1) | 2024.01.02 |
대한민국의 문학상/만해문학상(萬海文學賞) (1) | 2023.12.31 |
대한민국의 문학상/백석문학상(白石文學賞) (1) | 2023.12.30 |
대한민국의 문학상/오늘의 작가상 (0) | 2023.12.29 |